엘알마 칼럼

철거 후, 그 공간은 어떻게 다시 쓸 수 있을까?

비워진 자리, 다시 채우는 전략

“문을 닫았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.

공간은 여전히 살아있습니다. 문제는, ‘어떻게 쓸 것인가’입니다.”

폐업과 철거는 자영업자의 큰 전환점이지만,

철거 후 남은 빈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재도약의 방향이 정해질 수 있습니다.

이번 칼럼에서는 철거 후 공간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법을 이야기합니다.

1. 소형 공유공간으로 전환: ‘작게 나누고 넓게 벌자’

넓은 공간을 그대로 두기보다는 1인 사무실, 소형 창업자, 과외·튜터링 공간 등으로 나눠

임대하면

수익 구조는 단단해지고, 공실 위험은 줄어듭니다.

◎ 적용 사례

• 30평 공간 → 1인실 5개 + 회의실 + 공용존 구성

• 최소 5만 원/일 단기 임대 또는 월 30~50만 원 고정 수익

• 인테리어 재활용 + 최소비용 구조 변경으로 전환

◎ 콘텐츠 아이디어:

“퇴장 후 탄생한 소형 오피스” 실제 사례 소개 카드뉴스

2. 전세형 입점 유도: 초기 비용 없이 공간 활용

자신이 직접 재창업하지 않는다면, 전세·보증금 기반의 임차 모델로

다른 사업자에게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도 유효합니다.

◎ 예시 모델

• 독립 브랜딩 미용실, 네일샵, 튜터 스튜디오, 간이 F&B 등

• 보증금 + 시설 일부 인계로 초기비용 회수

• 임대수익 → 고정비 보전 가능

◎ Tip:

‘내일을 위한 퇴장’에서는 철거 후 공간 분석 및 타겟 업종 매칭 컨설팅을 제공합니다.

3. 부분 철거 후 직접 운영: 마이크로 스튜디오화

전체를 비우지 않고, 일부만 철거하거나 재구성하여

튜터링 공간, 영상촬영 룸, 무인카페, 프라이빗 독서실 등으로 직접 운영해

월 수익을 소폭 유지하면서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◎ 적용 방향

• 전면 리뉴얼이 아닌 부분 조정

• 좌석, 조명, 방음, 콘센트 등 기존 자원 최대한 재활용

• 운영은 무인 시스템으로 간편화

4. 지자체 공간활용 지원사업 연계

서울, 경기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유휴 공간을 사회적 목적이나 창업 공간으로 전환

시 인센티브 제공

철거 후 공간이 ‘버려진 장소’가 아니라 ‘전환된 플랫폼’이 되는 셈입니다.

◎ 신청 가능 사업 예

• 서울시 공유공간 등록제

• 소셜벤처 인큐베이팅 공간 활용 지원

• 경기도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 등

5. 철거는 끝이 아닌 ‘다시 쓰기’의 시작입니다.

퇴장을 마무리했다면, 다음으로 할 일은 공간을 보는 ‘다른 눈’을 갖는 일입니다.

같은 공간이라도 활용 방식에 따라

▶ 고정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고

▶ 새로운 브랜드 플랫폼이 될 수도 있습니다.

‘내일을 위한 퇴장’에서는

당신의 철거 이후 공간을 **”철거비 절감 + 재활용 + 재임대 + 재운영”**까지

단계별로 컨설팅합니다.

“비운 공간, 다시 채우는 법.

바로 지금, 퇴장이 곧 기회가 됩니다.”

소셜계정으로 공유하기
Avatar photo
엘알마크리에이티브

스터디카페,독서실 창업부터 마지막 퇴장인 폐업까지.
창업은 합리적으로, 구세대 독서실은 리뉴얼로, 폐업은 신속하게.
행정사 자격으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기사 : 71

댓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